미이케 다카시, 오디션 영화



친구가 '오디션'이 재미있다고 보라고 했을 때, 천계영의 만화 '오디션'인줄 알았다. 그런데 일본감독 미이케 다카시의 영화였다. 미이케 다카시 영화는 착신아리와 단편 하나(박찬욱, 미이케 다카시, 천궈의 '쓰리')밖에 본 적이 없지만, 이건 영화를 다 보고 나서 감독의 필모그래피를 찾아 본 후에야 안 일이다. 영화를 보기 전에는 아마 꽤 흐뭇하게 봤던 '강령(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의 감독이라고 착각했던 것 같다.

먼저 남자주연배우인 이시바시 료. 어디서 많이 본 얼굴인 듯 했으나 '자살클럽'에서 인상에 남았던 탓이지, 사실 많이 본 얼굴은 아니다. 자살클럽도 그렇고 오디션도 그렇고...좀 우울한 영화에 주로 등장하는 분이신 것 같다. 내 구분법에 의하면 이분의 얼굴은 '켕기는 인상'에 속한다. 뭔가, 무슨 표정을 짓더라도 떳떳해 보이지 않는 얼굴.

그리고 여자주연배우인 xxx. 귀찮아서 이름도 안 찾아봤다. 영화 줄거리상으로는 분명히 미야자와 리에처럼 예쁜 얼굴이어야 하건만, 예쁘지도 세련되지도 않은 배우다. 사실 처음 보고 중국인같이 생겼다는 생각이! 매력적인 남배우건 여배우건 하나 등장하면 영화 보기가 훨씬 더 즐거워지는데, 그런 면에서 좀 아쉬웠다.

홀아비인 주인공이 아들의 권유도 있고 해서 재혼을 결심한다. 그런데 평범한 방법으로 재혼 상대를 구하는 게 아니라 '오디션'을 봐서 고르기로 한다....라고 이야기하면 아주 미친 인간처럼 들리겠지만, 별로 그렇지는 않다. 영화 제작사 간부로 있는 친구가 어느 영화의 여주인공을 구하는 김에, 그 오디션에서 떨어진 인물들을 대상으로 탐색해 본다는 계획이다. 그래서 주인공이 고른 여자가 아사미. 좀 느끼하고 부담스러운 데이트 장면이 이어진다.
(문제는 이만큼 스토리가 전개되기까지 시간이 좀 걸린다는-거의 영화의 반 이상. 왜 그랬을까?)

그런데 여기서부터 공포영화스러운 장면이 조금씩 등장한다. 아사미 집에는 자루에 짐승같은 무언가가 담겨서 꿈틀거리는가 하면, 아사미 주변인물이 토막살인을 당했다느니 하는 소문도 들리고, 아사미의 양부는 반쯤 미쳐있다. 그러다가 결국 주인공도!!

줄거리 이야기는 이쯤에서 접고 감상을 이야기하자면, 몇 가지 인상깊은 부분은 있다. 아사미의 고문도구라든가, 토막난 시체를 모아봤더니 손가락 세 개와 혀 하나가 더 있더라는 이야기라든가, 또 아사미의 '키리키리키리'하는 소리 같은 것들.

그런데 불행히도 너무 호러를 탐해온 탓인지, 전반적으로 충격적인 정도는 아니다. 물론 뭔가 저예산으로 찍은 티가 뚝뚝 묻어나는 1999년작이라 최근 본 츠카모토 신야나 구로사와 기요시, 소노 시온의 영화와는 바로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말이다. 앞으로 근작들을 좀더 봐야 할듯.

그리고 결정적인 점!!여자가 보기에는 그닥 이해할 수 없는 공포영화다. 주인공과 아들, 또 주인공의 친구 등 영화의 남자인물 대다수(진짜 엑스트라 빼고 진짜 등장인물을 다 합해도 대여섯 명이다)가 노골적으로 여자를 혐오하거나 무서워한다. '천박한 여자들, 좋은 여자는 어디 있는거야?'라든가 '여자는 역시 무서워요'같은 대사들이 그렇다.

남자들의 이같은 여성관이 공포를 더 끌어내기 위한 하나의 도구라는 사실을, 영화(감독) 자체가 숨기거나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여자가 무섭다는 전제 하에 더 무서울 수 있는 공포'라는 게 여자들에게 공감이 갈 리가 없다. 그래서 후반부의 호러씬들은 그저 잔인해서 무서운 정도로밖에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다 보니 전반부와 결말 부분을 통해 감독이 열심히 쌓아 둔 부분들이 허술하게만 느껴지는 효과를 낳게 된다.

포스터 사진이라도 찾으려고 인터넷을 뒤지다 보니 몇몇이 '이 영화는 로맨스 영화'라고 써 놨던데, 정말 이 영화를 로맨스 영화라고 정의하려면 '어느 미친 여자와 어느 뻔뻔한 남자의 로맨스 영화'라는 장르를 새로 만들어야 할 듯하다.

얼른 악몽탐정 2편이나 나왔으면 좋겠다.

덧글

  • 이승환 2007/09/29 01:12 # 삭제

    남자 족치기까지 시간이 긴 것은 원작소설의 영향인 듯. 원작 소설에서는 그 텀과 과정을 상세히 묘사함으로 맘대로 남 믿지 말라는 주제 전달에 주력하는데 여기서는 마지막 부분의 충격을 크게 하기 위한 장치 정도로 사용한 느낌. 딱히 여자들에 대한 사고관이 공포를 증폭시키는 장치라는 생각이 안 드는 게 그런 이야기가 나올수록 뒤 전개가 예상이 되어버려서 오히려 공포를 반감시킬 수 있거든. 개인적으로 끼리끼리 모드 들어가기 전에 영상이 너무 맘에 들더군. 마지막이 잔인해서 무섭다는 생각은 거의 없었는데 빠른 컷으로 넘어가는 이 영상에서 꽤나 긴장감이 느껴졌음.

    이 감독의 영화는 김기덕 이후 오랜만에 연구가치가 있는 인간이라는 생각을 들게 했는데 이 영화는 그나마 양호하고 다른 영화들은 폭력의 표현이 상당히 재수가 없다. 특히 '이치 더 킬러'는 너같은 인간에게 아주 어울릴만한 영화이지. 원작자가 호문클루스 만화가로 알고 있다. 결론은 아무리 삶이 힘들다 해도 내게 키리키리는 하지 말기를... 조성은 키리키리하면 재밌을 듯 ㅋㅋ
  • 생강 2007/09/29 19:59 #

    the 영상이 좋았다니, 의외네. 너한테도 그런 취향이 있었다니!!!!!!!!!!!!!!!!!!!!!!!!!!!!

    그런 영상들로만 이뤄진 세시간 짜리 영화가 있더랬지. 근데 그 영화는 장면 하나하나는 볼만한데 영화 전체가 거의 이해할 수 없음의 정점에 있는 것 같은 영화라 도저히 보라고는 못하겠다;;

    조성은 돌아오면 키리키리 시키자. 희생자는 희규사마.

    그건 그렇고, 나같은 여성스러운 사람이 이치더킬러와 어울리다니, 가당치 않아! >.<
  • 룸펜 2007/09/29 20:13 #

    그건 그렇고, 나같은 여성스러운 사람이 이치더킬러와 어울리다니, 가당치 않아! >.<
    그건 그렇고, 나같은 여성스러운 사람이 이치더킬러와 어울리다니, 가당치 않아! >.<
    그건 그렇고, 나같은 여성스러운 사람이 이치더킬러와 어울리다니, 가당치 않아! >.<
    그건 그렇고, 나같은 여성스러운 사람이 이치더킬러와 어울리다니, 가당치 않아! >.<
    그건 그렇고, 나같은 여성스러운 사람이 이치더킬러와 어울리다니, 가당치 않아! >.<
    그건 그렇고, 나같은 여성스러운 사람이 이치더킬러와 어울리다니, 가당치 않아! >.<

    ...
  • 이승환 2007/10/01 03:30 # 삭제

    정성조, 네 이놈! 선배님께 그게 무슨 말버릇이냐!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